아버지의 눈물 > 메인뉴스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한민족연합회(韩民族联合会)


KCNTV한중방송(채널:303번)

2024 년 11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메인뉴스

아버지의 눈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금화 작성일21-05-08 23:14 조회544회 댓글0건

본문

2021년 5월8일 어버이날을 맞으면서 작은 아들 최영철 드리는 글

1960년 아버지의 결단을 그린다

어릴 때 나의 인상엔 아버지는 매우 독한 분이셨다. 나의 동생 넷이 죽었을 때 나는 아버지의 눈물을 한 방울도 보지 못했다.

 

귀여운 남동생이 죽었을 때 마을의 어른들이 오셔서 눈물을 흘리며 조문하실 때 아버지께서는 도리어 그 분들을 위로하는 말씀을 하셨다.

 

“명이 고만하니 별수 없지. 어서 집에 가 볼일을 보오.”

 

이처럼 독하신 아버지의 눈물을 나는 1960년 겨울방학에 보았다.

 

그 전해만해도 방학에 집에 오면 마을의 식당에서 흰쌀밥을 먹었다. 그런데 1960년 전국의 자연재해로 중학교 식당에서 먹던 옥수수떡을 마을식당에서도 먹었다. 왠지 중학교 식당의 옥수수떡보다 더 먹기 힘들었다.

 

고향마을은 옥수수 농사를 짓지 않고 벼, 조, 콩 농사를 짓는다. 그런데 왜 옥수수떡을 먹어야 하나?

 

상급 정부에서 ‘증구량’ 임무량을 대폭 증가한 동시에 촌민들 식량인 벼를 몽땅 실어갔다. 대신 현 양식창고에서 몇 년 묵은 옥수수가루를 줬는데 그것도 20% 적게 주었다. 그러면서 부족한 량은 자력갱생으로 해결하라고 했다.

 

외지의 양식절약 방법도 전해주었다. 옥수수 가루를 반죽할 때 산나물 들나물 옥수숫대 전분을 넣고 반죽하라는 것이었다.

 

옥수숫대 전분은 고향사람들이 처음 듣는 소리였다.

 

만드는 방법은 이렇다. 옥수숫대를 분쇄기로 분쇄한 후 그것을 큰 독에 절반쯤 넣고 물을 가득 붓는다. 하루 지난다음 옥수숫대를 건져내고 물을 쏟아내면 독 밑에 거무스레한 것이 드러난다. 이것이 전분이란다.

 

이것을 건져 옥수수가루에 섞어 힘들여 반죽한다. 주먹만큼 크게 둥글게 빚은 후 식판에 탁 친다. 그러면 평평한 밑굽이 생긴다. 다음 밑굽 중간을 엄지손가락으로 꾹 눌러 움푹 들어가게 홈을 낸다. 이렇게 하면 설익지 않고 잘 익는다고 한다. 이렇게 만든 옥수수떡을 고향에서는 ‘워궈퉈우’라고 불렀다. 좀 식으면 단단해서 머리를 때리면 머리가 터질 정도다.

 

마을 식당에서 하루 세끼 ‘워궈퉈우’를 먹는다. 나는 눈물을 찔끔 짜면서 한 개를 겨우 먹었다.

 

당시 마을엔 독거노인 5명을 모신 경로원이 있었는데 여름에 한 노인은 머리맡에 ‘워궈퉈우’ 몇 개 놓고도 굶어 세상을 뜨셨다.

 

보다 못한 아버지께서는 한족 마을에 가서 가을에 입쌀을 주기로 하고 밀가루 100근 꿔 오셨다. 그리고 경노원에 식모 1명 배치했다. 그런데 20일전에 밀가루가 거덜 났다. 그러면서 이틀 전에 또 한 분이 굶어 세상을 뜨셨다.

 

그때 아버지께서는 그 할아버지의 시체를 염습하신 후 시체에 절하시면서 눈물을 흘리셨다.

 

“삼촌님 다 저의 잘못입니다.”

 

그때 나는 처음 아버지의 눈물을 보았다. 아니 그 자리에 있는 마을 사람들도 아버지의 눈물을 처음 보았단다.

 

그 후 아버지께서는 깊은 생각에 잠기셨다.

 

탈곡장에 벼를 실어놓은 수레 10채 있다. 날이 밝으면 현양식창고로 떠난다. 그러면 10여명이 또 굶어 죽을 수 있다. 당시 60세 넘은 노인 7명 장기환자 6명이 있었는데 그들도 사경에 처해있었다. 임신부 한 분이 영양실조로 유산했다. 수유기 애엄마들이 젖이 나지 않아 여기저기서 애들의 자지러지는 울음소리가 들려온다.

 

아버지께서는 입술을 지그시 깨문 후 입을 여셨다.

 

“너의 사촌형을 데려오라.”

 

당시 창고관리원 겸 식당관리원인 사촌형님이 도착하자 아버지께서는 엄숙히 명령했다.

 

“오늘 밤 10수레 벼를 몽땅 가공해 한집에 100근씩 나눠줘라. 그리고 모레부터 식당문을 닫아라. 모든 후과는 대대장인 내가 책임진다. 실수 없이 처사해라.”

 

“삼촌 어떻게 하시려고?”

 

“내일 내가 인민공사 영도를 찾아가 벼 10수레 도둑 맞혔다고 신고하겠으니 뒤처리를 실수없이 해라.”

 

군대에서 정찰병이었던 사촌형님은 뒤처리를 깔끔히 했다.

 

아버지의 용단으로 마을에서는 굶어 죽는 사고가 더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런데 3년 후에 경로원 식모의 말실수로 이 사건이 터졌다. 전 현에서 제일 큰 사건이었다. 아버지께서는 마을대대장자리에서 철직당하고 10여일 사원투쟁을 받으셨다.

 

그 후 아버지께서는 손수 개척하신 갱신촌에서 살 멋이 없다며 아래 마을인 보흥촌으로 이사하셨고 1986년 8월에 아버지께서 세상을 뜨셨다.

 

당시 현정부의 결정에 따라 아버지의 시체를 화장한 후 강물에 띄우기로 했다. 그런데 갱신마을 어르신들께서는 그렇게 할 수 없단다. 그들은 아버지의 골회함을 우리 가족 선산에 모셨다.

 

지금 고향 사람들은 고향 마을을 떠났으나 아버지께는 마을을 개척하신 분들과 함께 마을을 굳건히 지키고 계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016
어제
1,018
최대
2,701
전체
312,268
한민족연합회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hmzkorean.korea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